비지니스 사업이익 엿보기
- 비지니스/비지니스 걸음마 떼기
- 2018. 6. 24. 00:00
비지니스에서는 무엇보다 이익이 최우선이다. 총수익에서 비용을 제외한 이익은 주어진 기간 내에 사업을 통해 만들어낸 돈의 액수이다. 일반적으로 이익이 많을수록, 재투자하거나 보유할 수 이익도 더 많아진다. 이익에 대한 정확한 판단은 재정의 건전성 판단의 필수 요소이다.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어떻게 매길 것인지를 결정하고 종업원에게 월급을 얼마나 줄 수 있는 지 판단하는 등 많은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사업이익을 계산하는 첫 번째 단계부터 알아보자.
필요한 내용은 Ctrl + F 하셔서 검색하시면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검색단어 : 총수입, 사업비용, 사업이익, 손실, 세금, 총매출, 이익률등
총수입으로 시작하기
이익을 제대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회계기간(분기, 반기, 연도별) 동안의 수입계가 필요할 것이다. 해당 기간 동안 상품 또는 서비스 매출액을 더하는데, 상품 판매, 서비스 제공, 멤버쉽 가입비 등 다양한 곳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정부기관의 경우는 세금, 사용료, 자원에 관한 권리 양도 등을 포함될 것이다.
사업비용
사업영역이 어떤 유형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사업 총비용은 회계기간 동안 사업상의 모든 지출 합계를 말하는데, 사업운영 중에 분야별로 발생하는 비용의 자세한 세부항목은 아래와 같다.
총이익
총수입에서 총비용 빼기. 총 수입과 비용의 정확한 값을 안다면, 이익을 계산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총수입에서 비용을 빼면 이익이 된다. 사업상 이익으로 얻은 금액은 해당 기간 동안 번 돈을 나타내는 것이고, 이 돈은 사업주가 재투자를 하건, 대출금 상환을 하건, 투자자들에게 배당하건, 저축하건 아무튼 원하는 대로 사용할 수 있는 돈이다.
이익의 반대말인 손실(순손실) 기억하기
통상 적자라고 말하지 않고, 순손실(net loss) 또는 순영업손실(net operating loss: NOL)이 발생하였다고 한다. 만약 당신의 사업이 적자를 일으켰다면, 이것은 그 기간 동안 벌어들인 돈보다 많은 돈을 썼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비즈니스에서 이런 상황은 피해야하지만 사업초기에 피하기 어려운 일이기도 하다. 순영업손실의 측면에서 사업체는 투자자로부터 받은 추가 투자금이나 대출로 운영비용을 지불해야한다. 순손실은 사업이 반드시 잘 안 된다는 의미라고 할 수는 없다. 사업초기에는 이익이 발생하기 전에 사무실 매입, 브랜드 구축 등 일회적 비용 발생이 초래하는 등 순손실로 사업이 진행되는 것이 특이한 일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아마존닷컴은 흑자로 전환하기까지 1994년부터 2003년까지 9년 동안 손해를 보았다.
수입과 지출에 관한 사업소득신고서로 상담받기
사업상 이익을 찾기 위한 실제 계산법은 상당히 간단하기 때문에, 회계기간 동안의 사업상이익을 찾는 과정 중 가장 어려운 부분은 수입과 비용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찾는 것이다. 다행히, 대부분의 사업체는 의무적으로 수입과 비용의 자세한 내용을 포함한 회계자료를 공개하도록 되어있다 소득신고서는 회사의 수입원과 비용의 세부내역 뿐 아니라, 회계기간 동안의 총 이익의 결산 가치도 포함하고 있다.
돈을 벌기 위해서는 돈을 써야 한다.
상품은 원자재를 모아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판매할 상품을 만드는데 필요한 원자재와 노동력은 공짜가 아니기 때문에, 상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돈을 써야하는 것이다. 원가는 매출원가라고 하는데 상품의 제작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원료구입비, 노동력의 대가를 포함한다. 배달, 운송, 판촉비 등의 간접비용은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다. 순판매액에서 매출원가를 공제한 것은 총수익이라고 부른다.
세금공제 하기.
마지막으로, 모든 수입과 세금을 계산한 후 최종적으로 세금을 공제해야 한다. 또한 세율은 회사가 사업을 하는 곳이나 이익을 얼마나 남겼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도 기억하자. 일단 납부한 세금을 공제하고 남은 금액이 순수익으로 사업주가 용도를 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이다
사업이 커질수록 위와같은 분야는 하나하나 세세하게 따져보셔야 합니다.
이상의 내용은 제가 여러 비지니스 관련 업무를 진행하면서 일기형식으로 연재하는 내용의 일부입니다. 저도 공부를 하며 완벽하게 정리된 내용이 아니므로, 어투가 서툴고 문맥이 매끄럽지 못한점 사과드립니다. 보다 발전하는 모습 보여드리겠습니다. 공감과 댓글은 제가 큰 힘이 된답니다.♡
'비지니스 > 비지니스 걸음마 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 전략 & 계획서 작성방법 (0) | 2018.06.24 |
---|---|
부자되는법 뻔하고 뻔한이야기 (0) | 2018.06.24 |
백분율 참쉬운 개념과 사업이야기 (0) | 2018.06.24 |
아마존 판매방법 & 가입방법 (0) | 2018.06.24 |
온라인 비지니스 트래픽 올바른 이해 (0) | 2018.06.23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