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개발계획(광역간선도로망 계획)

제주도 개발계획(광역간선도로망 계획)

제주도 개발계획중 하나인 광역간선도로망 계획입니다.

토지가격은 무조건 도로를 따라갈 수 밖에 없다는것 알고계시지요?^^*
필요하신분들은 참고해주세요.



① 광역 간선도로망 계획

■환상축

‒ 장래 교통량 추이를 감안 구간별 확장 및 개량·교차로 정비·협소한 노폭 확

장 및 오르막 차로 설치로 간선기능을 강화하고, 서귀포 구간은 평화로와 연

결하여 남북 연결기능 강화

■남북간선축

‒ 평화로 : 안덕 ~ 대정(7㎞) 구간 조기 완공으로 남북 간선축 완성

‒ 번영로 : 대천 ~ 성읍(14.6㎞) 구간 확장 완공으로 남북 간선축 연결 기능 강화

■ 행정구역 광역화에 따른 토지이용 등을 감안하여 향후 우회노선, 구간별 확

장 등 단계적 확충방안 수립 필요



② 보조간선도로망 확충

■ 지역 거점도시와 3개 환상선의 연계노선을 확충·정비 및 거점 도시간 접근성 강화

‒ 교통량 추이와 토지이용계획을 감안하여 구간별 확장 등을 계획 수립 추진하되, 4차로 확장 수요에 미치지 못하는 구간은 오르막차로 설치 등 도로 기하구조 개선 및 안전시설 확충 중심으로 정비하여 주행속도를 대폭 개선

‒ 거점도시에서 광역간선도로망으로 연결노선은 환경친화적 도로건설을 통한지속가능한 개발을 도모

‒ 제2공항 건설에 따라 제주동지역 및 서귀포 동지역과 제2공항 건설지역간 연결성 강화를 위한 도로 확충 및 

신교통수단 검토





<대표적인 정체구간중 하나인 평화로의 문제점>

∘2016년 도로개설에 따른 교통량 검토결과금악-상가간 도로개설, 광령∼애월간 도로개설에 따른 평화로구간(무수천사거리∼해안교차로)의 교통량이 +12,368대/일이 증가하며,해안교차로∼노형오거리 구간은 +4,028대/일

증가. ∘광령∼애월간 도로개통으로 인해 애월읍의교통량이 평화로에 집중 ∘신북로 개통으로 인해 중산간도로, 

남조로의교통량이 +3,056대/일∼3,523대/일이 증가



<대책방안>

∘노형오거리 우회도로 조기개설 필요 ∘서귀포시 도시우회도로(대로 1-1-4호선)조기개설 필요 

∘도로 Network 연계 및 순환도로, 우회도로연계



<대표적인 정체구간중 하나인 제주항 인근 문제점>

∘무수천사거리-월산정수장입구 교차로 중방향계수(0.61-0.71)값이 크며, 

장래 도로망이 평화로에 집중



<대책방안>

∘애조로 순환도로망 조기구축 및 병목구간

개선 ∘가변차로제 도입으로 용량확보(중장기 검토)∘제주항 2단계 및 3단계 개발에 따른 추가

교통량 발생 ∘국제여객터미널 및 크루즈 부두완공으로 교통량 증가

 ∘제주항 관련 화물교통량이 도심지를 통과하여 교통량 지체발생제주항 3단계 개발시 화북공단, 한림, 

봉개와 연계하여 우회도로 개설 L=1.16KM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